맨위로가기

기독교 신비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독교 신비주의는 하나님과의 직접적인 경험을 추구하는 기독교 신앙과 실천의 한 측면으로, 다양한 정의와 실천 방법을 포괄한다. 어원은 고대 그리스어 "theoria"에서 유래되었으며, 관조, 사색, 응시 등을 의미한다. 기독교 신비주의는 성경적, 전례적, 영적 또는 묵상적 차원을 포함하며, 버나드 맥긴은 이를 하나님의 임재에 대한 준비, 자각, 영향과 관련하여 정의했다. 윌리엄 제임스는 종교적 경험을 강조하며 신비주의를 이해하는 데 영향을 미쳤고, 기독교 신비주의는 인간의 영적 변용을 강조하며, 예수와의 결합을 통해 완전한 인간이 되는 것을 추구한다.

역사적으로 기독교 신비주의는 2세기 이후 널리 받아들여졌으며, 초기 교부들의 신비 신학, 신플라톤주의의 영향을 받았다. 동방 기독교에서는 헤시카즘을 통해 신비적 기도 전통을 유지하며, 테오시스(신화)를 통해 신성화의 목표를 추구한다. 서방 기독교에서는 정화, 조명, 합일의 단계를 거치며, 묵상과 관상을 통해 신과 일치하려는 노력을 한다. 중세 시대에는 다양한 수도회와 신비주의자들이 등장했으며, 종교개혁과 반종교개혁 시기에는 스페인을 중심으로 새로운 신비주의 문학이 꽃피었다. 근대 이후에도 다양한 종파와 인물들이 신비주의적 경향을 보이며, 현대에도 그 의의를 지니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 신비주의 - 그리스도를 본받아
    《그리스도를 본받아》는 토마스 아 켐피스가 저술한 기독교 영적 수련서로, 그리스도의 삶을 본받는 신앙적 실천을 강조하며 영적 성장을 위한 지침을 제시하고,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어 널리 읽히지만, 신학적 관점과 여성관에 대한 비판도 있다.
  • 기독교 신비주의 - 독일 신비주의
    독일 신비주의는 부정 신학, 평신도 자각, 범신론적 신을 강조하며 이성 중시, 자기 수양, 독일어 사용을 선호하는 사상 경향으로, 종교 개혁과 독일 철학에 영향을 미쳤다.
  • 기독교의 기도 - 성공회 기도서
    성공회 기도서는 잉글랜드 종교 개혁 과정에서 가톨릭 교회의 성무일도에서 파생되어 예배, 기도, 성례 등의 절차를 담은 규칙서로, 영어 예배와 성서학 및 고전문헌학 발달에 영향을 미쳤으며 대한성공회에서는 '성공회 기도서' 또는 '기도서'라는 명칭으로 사용된다.
  • 기독교의 기도 - 아멘
    '아멘'은 '그러할지어다'라는 뜻의 감탄사로,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에서 기도나 예배 등의 끝에 쓰이며, 히브리어에서 유래하여 여러 언어로 퍼져 각 종교와 문화권에서 다르게 사용되고, 음악에서는 찬송가 종지형으로도 쓰인다.
  • 신비주의 -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마이스터 에크하르트는 14세기 독일의 도미니크 수도회 신학자이자 신비주의자로, "신성의 무(無)" 개념을 중심으로 신과 인간의 합일과 자아 초월을 강조하는 독특한 신학 사상으로 이단 논란에 휩싸였으나, 후대 다양한 분야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며 재평가되고 있다.
  • 신비주의 - 독일 신비주의
    독일 신비주의는 부정 신학, 평신도 자각, 범신론적 신을 강조하며 이성 중시, 자기 수양, 독일어 사용을 선호하는 사상 경향으로, 종교 개혁과 독일 철학에 영향을 미쳤다.
기독교 신비주의
일반 정보
안드레이 루블료프의 성 삼위일체 이콘
"성 삼위일체의 이콘, 안드레이 루블료프 작 (1411년-1422년)"
다른 이름관상, 신적 관상
기원기원후 3세기
종교기독교
정의
설명기독교 내의 신비적 전통과 실천. 인간 의식의 합일 또는 신과의 일치를 추구함.
특징신과의 직접적인 경험 추구
기도, 명상, 관상 등의 수행
종교적 황홀경, 탈혼 경험
역사
초기 기독교오리게네스
나지안조스의 그레고리오스
닛사의 그레고리오스
아우구스티누스
중세 기독교수도원 운동의 발전
베르나르
힐데가르트
아시시의 프란치스코
클레르보의 베르나르도
에크하르트
십자가의 요한
아빌라의 테레사
카타리나 데 제노바
노리치의 줄리안
발터 힐튼
리처드 롤
현대 기독교침묵 기도
예수 기도
토마스 머튼
카를 라너
주요 개념
테오시스신성화, 신과의 합일
헤시카즘동방 정교회의 명상 전통
예수 기도주 예수 그리스도, 하느님의 아들이시여, 이 죄인을 불쌍히 여기소서
카타르시스영혼의 정화
성스러운 독서신성한 독서를 통한 묵상
관상하느님과의 합일을 추구하는 묵상
주요 인물
도미니코회도미니코 데 구스만
프란치스코회아시시의 프란치스코
파도바의 안토니오
보나벤투라
자코포네 다 토디
폴리뇨의 안젤라
영국리처드 롤
발터 힐튼
노리치의 줄리안
마저리 켐프
플랑드르나자렛의 베아트리체
뤼트가르디스
하데비히
얀 반 뤼스브룩
독일마이스터 에크하르트
요하네스 타울러
하인리히 수소
스페인이냐시오 데 로욜라
프란시스코 데 오수나
아빌라의 요한
아빌라의 테레사
십자가의 요한
프랑스마르가리타 마리아 알라코크
피에르 드 베륄
장자크 올리에
루이마리 그리뇽 드 몽포르
샤를 드 콩드렌
장 외드
성 삼손의 요한
기타제노바의 카타리나
마리아 데 헤수스 데 아그레다
안네 카타리나 에메리히
베로니카 줄리아니
프란치스코 드 살
리சிய외의 테레사
발라자르의 알렉산드리나
파티마의 루치아
관련 문서
관련 주제헤시카즘
예수 기도
정적주의
카타르시스
테오시스
명상의 양상

2. 어원

"신비주의"는 "숨기다"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μύω에서 유래되었으며, 이 단어에서 파생된 μυστικός|뮈스티코스grc(''mystikos'')는 "입문자"를 의미한다.[7] 헬레니즘 시대에 "mystikos"는 비밀 종교의 입문자를 가리켰다.[7] 초기 기독교에서 ''mystikos''라는 용어는 성경적, 전례적, 영적 또는 묵상적 차원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7]

관람자의 상태를 표현한 ''Theoria''(θεωρία)는 고대 그리스어로 '관조, 사색, 응시, 관찰'을 의미하며, 'theorein'(θεωρεῖν) '고려하다, 사색하다, 응시하다'에서 유래했다.[7]

3. 정의

그리스도와 교회의 신비로운 결혼


"신비주의"는 "숨기다"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μύω에서 유래되었으며, 이 단어에서 파생된 μυστικός|미스티코스grc(''mystikos'')는 "입문자"를 의미한다. 헬레니즘 시대에 "mystikos"는 비밀 종교의 입문자를 가리켰다. "신비로운"은 비밀 종교 의식을 의미했으며, 이 단어에는 초월적인 것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이 없었다.[27]

초기 기독교에서 ''mystikos''라는 용어는 성경적, 전례적, 영적 또는 묵상적 차원을 지칭했는데, 이들은 곧 서로 얽히게 되었다.[27] 성경적 차원은 "숨겨진" 또는 성경의 비유적 해석을 가리킨다.[27] 전례적 차원은 성찬례의 전례적 신비, 즉 성찬례에 임재하는 그리스도를 가리킨다.[27] 세 번째 차원은 하느님에 대한 묵상적 또는 체험적 지식이다.[27]

이후 관상은 지적인 삶과 구별되었고, 동서[31][32] 모두에서 θεωρία 또는 ''contemplatio''가 담론적인 묵상과 구별되는 관상 기도 형태로 인식되었다.[8] 일부에서는 관상 내에서 인간의 노력으로 얻는 관상과 주입된 관상을 추가적으로 구분한다.[32][33]

서방 전통에서 주입된 또는 더 높은 관조(또는 신비주의적 관조 기도[27])는 하나님의 임재 또는 의식을 의미한다. 이 임재 또는 의식은 다양하지만, 무엇보다도 항상 신성한 ''사랑''과의 재결합과 관련이 있다. 기본적인 주제는 완벽한 선이신 하나님[27]은 지성만큼이나 마음으로 알려지거나 경험된다는 것이다. 요한 1서 4장 16절은 "하나님은 사랑이시라, 사랑 안에 거하는 자는 하나님 안에 거하고 하나님도 그 안에 거하시느니라."라고 말한다. 고전 신비주의의 어떤 접근 방식은 처음 두 단계를 명시적으로 신비로운 경험인 세 번째 단계를 준비하는 것으로 간주하지만, 다른 접근 방식은 이 세 단계가 겹치고 얽혀 있다고 말한다.[65]

'''기독교 신비주의'''의 전통은 기독교 역사만큼이나 오래되었다. 적어도 신약성서의 3개 문서에는 후대의 기독교 신비가의 사상을 떠올리게 하는 주제가 몇 가지 보인다.

「갈라디아서 2:19 」는 다음과 같다.

: 나는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혔습니다. 이제 내가 사는 것은 내가 아니라, 그리스도께서 내 안에 사시는 것입니다. 내가 지금 육신 안에서 사는 것은 나를 사랑하시고 나를 위하여 자기 몸을 내어주신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믿음으로 사는 것입니다. — 공동번역성서. 이하 같음.

「요한 1서 3:2」는 다음과 같다.

: 사랑하는 여러분, 우리는 지금 하나님의 자녀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어떻게 될지는 아직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그분께서 나타나실 때에는 우리가 그분과 같은 모습이 될 줄 압니다. 그것은 우리가 그분께서 참 모습 그대로 뵙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베드로후서 1:4는 다음과 같다.

: 이 영광스러운 약속을 통하여 여러분은 정욕으로 세상에서 부패해 가는 생활을 벗어나 하나님의 본성에 참여하는 자가 될 것입니다.

기독교 신비주의의 주요한 주제는 다음과 같다.

# (그리스도를 본받은) 인간과 하느님과의 "영적인 합일"

# "거울에 희미하게 비친"것이 아니라, 분명하게 있는 그대로 지각, 경험되는 "하느님의 완전한 모습"

「고린토전서 13:12」는 다음과 같다.

: 지금은 우리가 거울로 희미하게 보지만, 그 때에는 얼굴을 마주하여 볼 것입니다. 지금은 내가 부분적으로 알 뿐이지만, 그 때에는 하나님께서 나를 아시는 것과 같이 내가 완전하게 알 것입니다.

고린도후서 12:2」에는 바울로가 어떤 사람이 "셋째 하늘"까지 이끌려 올라간 예를 소개하고 있다.

: 나는 그리스도 안에 있는 어떤 사람을 압니다. 그는 십사 년 전에 셋째 하늘까지 이끌려 올라갔습니다. 그가 몸 안에 있었는지, 몸 밖에 있었는지, 나는 알지 못합니다. 하나님은 아십니다. 나는 이런 사람을 압니다. 그는 낙원에까지 이끌려 가서 사람이 표현할 수 없는 말, 곧 입 밖에 낼 수 없는 말을 들었습니다.

이러한 신비 체험은 예수의 산상 변모 ( 마가복음 9:2 ) 때에도 일어났다. 공관 복음서에 확증되어 있듯이, 예수님은 3명의 사도, 즉 베드로, 야고보, 요한만을 데리고 높은 산에 올라, 그곳에서 변모하였다. 얼굴은 해와 같이 빛나고, 옷은 빛과 같이 하얗게 되었다. 모세엘리야가 나타나, 예수님과 대화했다. 그리고 빛나는 구름이 그들을 덮고, "이는 내 사랑하는 아들, 내 마음에 드는 자니, 너희는 그의 말을 들어라" 라는 소리가 구름 속에서 들렸다.

이러한 신비 현상은 (기독교 신비주의를 포함한) 신비주의 일반에서 나타나는 것이지만, 기독교 신자에게는 강조점이 다르다. 기독교 신비주의에서 강조하는 것은 주로 인간의 영적 변용이다. 인간의 영적 변용이란, 인간은 "신의 형상대로 지어졌다"는 점에서, 보다 완전한 인간이 되거나, 인간성을 더욱 실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기독교 신자에게 "인간의 잠재성을 완전히 실현하는 것"은 예수 안에서 가장 완전하게 이루어졌으며, 다른 사람에게 있어서도 예수와의 결합을 통해 실현된다. 기독교 신비가는 예수와의 결합을 의식하고 있으며, 간디와 같은 다른 전통 종교를 신봉하는 사람은 예수와의 결합을 의식하지 않는다는 차이가 있다.

신비가의 수행이 시작되는 지점은 제1의 "정화" 실천이다. 이 단계의 초점은 훈련, 특히 인간 육체의 제어에 있으며, 신비가는 혼자서 또는 동료와 함께, 일정한 횟수, 일정한 자세로 (종종 서서, 또는 무릎을 꿇고) 기도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 단식과 구제라는 다른 수행도 중시된다. 특히 구제에는, 굶주린 사람에게 음식을 주거나, 의지할 곳 없는 자에게 거처를 제공하는 등, "자비의 업"이라고 불리는, 영적, 그리고 물질적인 활동이 포함된다.

기독교 신비주의 일반의 기초가 되는 이 정화의 실천은, 바울로의 "영으로써 몸의 행실을 끊으면, 여러분은 살 것입니다" (로마 신자들에게 보낸 편지 8:13)와 같다. "육체의 행실"이란, 외면적인 행실뿐만 아니라, 기독교 신자로서 살아가는 것을 방해하는 습관이나 태도, 탐욕, 탐닉 등 (소위 "정욕")을 가리킨다. 이것은 외면적인 것뿐만 아니라, 내면적인 것도 가리킨다. 육체상의 제어를 하기 위해, 정화의 실천은 "금욕주의·고행"이라고 불린다. 여기서 추구하는 것은 본래 의미에서의 "구원"이며, "영원한 생명"을 얻는다는 것보다는, 영적인, 정신적인, 감정적인, 또한 육체적인 "치유"를 얻는 것을 말한다.

제2의 "조명" 실천은, 성령이 사람의 마음을 비추어, 성경이나 기독교의 전승에 명시되어 있는 진리뿐만 아니라, 자연계에 명시되어 있는 진리를 깨닫는 지혜를 준다는 작용과 관계가 있다. 여기서 "자연계의 진리"란, 과학적인 의미가 아니라, 경험하는 모든 사물 안에서 신의 작용을 느끼는 것과 같은, 삼라만상의 "깊이"를 비추는 작용을 가리킨다.

제3의 "합일" 실천은, 서양에서 보통 "명상"이라고 불리며, 어떤 형태로든 신과 일체되는 경험과 관계가 있다. 이 일체화의 경험은 다양하며, 기술하기 어렵다. 그러나 "신의 사랑"과 관련된다. 요한의 첫째 편지 4:16에 "하느님은 사랑이십니다. 사랑 안에 머무는 사람은 하느님 안에 머물고, 하느님도 그 사람 안에 머무십니다"라고 한 것처럼, 지성에 의하기 이전에, 마음으로 지고한 존재를 아는 것이다.

이 3단계에 관해서, 제1, 제2는 제3에 이르는 준비적인 것이라고 가르치는 고전적 신비주의도 있고, 이 3개는 서로 겹쳐져 있는 것이라고 가르치는 경우도 있다.

기독교 신비주의의 또 다른 특징은, 집단 생활과 관계가 있다는 것이다. 세상을 버린 은둔자에게조차, 기독교인의 생활은 항상 교회나 신도의 교제와 함께 있었다. "성찬식" (전례 미사·성체 예식) 등의 집단 의례에 참여하는 것은, 기독교 신비주의에게 필수적인 요소이다. 이를 통해, 영적 지도자나 고해 사제(청죄 사제), "영혼의 벗"과 교제할 수 있으며, 영적인 수도의 과정에 대해 논의할 수 있다(영적인 스승은 성직자일 수도, 재속 신도일 수도 있다).

4. 역사

"신비주의"라는 단어는 "숨기다"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μύω에서 유래되었으며, 여기서 파생된 μυστικόςgrc, 즉 ''mystikos''는 "입문자"를 의미한다. 헬레니즘 시대에 "mystikos"는 비밀 종교의 입문자를 가리켰다. 초기 기독교에서 ''mystikos''라는 용어는 성경적, 전례적, 영적 또는 묵상적 차원의 세 가지 의미를 지녔으며, 이들은 서로 얽혀 있었다.[15] 성경적 차원은 "숨겨진" 또는 성경의 비유적 해석을, 전례적 차원은 성찬례의 전례적 신비, 즉 성찬례에 임재하는 그리스도를, 세 번째 차원은 하느님에 대한 묵상적 또는 체험적 지식을 가리킨다.[15]

신비로운 현실에 대한 생각은 서기 2세기 이후 기독교에서 널리 받아들여졌다. 초기 교부들은 신비 신학 및 신비 관조와 같이 형용사로 이 용어를 사용했다. 그 후 몇 세기 동안, 특히 기독교 변증학이 기독교 사상을 설명하기 위해 그리스 철학을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신플라톤주의는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와 오리게네스와 같은 저술가들을 통해 기독교 신비 사상과 수행에 영향을 미쳤다.[11]

기독교 신비주의는 유대교 신비주의와 그리스 철학, 특히 신플라톤주의의 영향을 받았다.

4. 1. 유대교 신비주의의 영향

기독교 신비주의가 정의되기 이전 시대의 유대교 신비주의는 회당 예배를 중심으로 한 집단적이고 공개적인 성격을 띠었으며, 개인의 영성은 전례와 성경의 영향을 받았다. 주요 개념으로는 비나(이해), 호크마(지혜), 셰키나(하느님의 임재), 토라 신비주의, 가난의 영성 등이 있다.

4. 2. 그리스 철학의 영향

플라톤(기원전 428–348년)은 고대 철학자 중 가장 중요한 인물로 여겨지며, 그의 철학 체계는 이후 대부분의 신비주의 형태의 기초를 제공했다. 플로티노스(대략 서기 205 – 270년)는 신플라톤주의의 기반을 기독교, 유대 신비주의, 이슬람 신비주의에 제공했다.[7]

플라톤 (Πλάτων)


플라톤은 관조자(theoros)가 관조하는 것(theorei)은 이데아이며, 이는 개별적인 현상들의 근본적인 실재라고 보았다. 이러한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실재들을 관조하는 사람은 평범한 사람보다 더 뛰어난 관점으로 평범한 것들을 바라볼 수 있게 된다.[12] 오푸스의 필리포스는 theoria를 별에 대한 관조로 보았고, 이는 플라톤이 이데아에 대한 관조의 결과로 보았던 것과 유사하게 일상생활에서 실용적인 효과를 가져온다고 보았다.[12]

플로티노스(Πλωτίνος)


신플라톤주의의 창시자 중 한 명인 플로티노스(기원후 204/5년–270년)의 저서 ''엔네아데스''에 따르면, 모든 것은 관조(''theoria'')에서 비롯된다.[13][14] 첫 번째 위격인 '일자(One)'는 관조이며,[15][16] "가장 단순한 방식으로 자신을 향하며 복잡성이나 필요성을 내포하지 않는다." 이는 자신을 반사하여 두 번째 위격인 지성(그리스어 Νοῦς, ''Nous'')을 발산했는데, 플로티노스는 이를 "살아있는 관조"이자 "자기 성찰적이고 관조적인 활동의 전형"이라고 묘사했다. 세 번째 위격적 수준에도 ''theoria''가 존재한다.[17] 일자에 대한 지식은 모든 것의 근원에 대한 관조(''theoria'')인 그 힘의 경험을 통해 얻을 수 있다.[18]

플로티노스는 아리스토텔레스가 관조(''theoria'')와 실천(''praxis'')을 체계적으로 구분하는 것에 동의했다. ''theoria''의 우월한 삶에 헌신하려면 실천적이고 활동적인 삶을 자제해야 한다. 플로티노스는 "행동의 요점은 관조이다. ... 따라서 관조는 행동의 목적이다."라고 설명하며, "이것이 신성과 신성하고 축복받은 사람들의 삶이다. 이 세상의 모든 것에서 벗어나고, 모든 세속적인 즐거움을 경멸하며, 홀로 있는 자가 홀로 존재함으로의 도피."라고 덧붙였다.[19]

4. 3. 초기 기독교

신약성서는 기독교 신비주의의 중요한 기초를 제공한다. 성찬례, 세례, 주기도문과 같은 의례는 의례적 가치와 상징적 가치를 모두 지닌다. 예수의 십자가형부활 후의 나타나심은 기독교 신학의 중심 사건이며, 성령이 마리아를 덮는 예수의 잉태와 변용 또한 중요한 명상의 대상이다.[127]

공관 복음서는 마음의 순수함과 회개를 강조한다. 마음의 순수함은 하나님의 빛 안에서 보려는 의지를, 회개는 하나님이 우리를 심판하고 변화시키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공관 복음서는 광야를 영혼의 가난함 속에서 하나님을 만나는 장소에 대한 은유로 사용한다.[128]

요한 복음은 빛의 이미지를 사용하여 하나님의 영광을 강조하고, 십자가를 고양의 순간이자 ''아가페'' 사랑의 예시로 제시한다. 아가페 사랑은 감정이라기보다는 다른 사람을 섬기고 돌보려는 의지이다. 요한은 사랑을 강조하면서 영적 성장의 목표를 지식/''그노시스''에서 멀어지게 하고, 스토아 사상과 관련하여 우주의 근본 원리이자 모든 사람 안의 영적 원리로 제시한다.[128]

바울은 서신에서 정신 활동에 초점을 맞추지만, 마음을 새롭게 하는 것을 회개와 동일시하는 공관 복음서와는 다르게 접근한다. 바울은 십자가에서 예수님이 하신 일을 묵상하면서 마음이 새로워진다고 보며, 이는 우리를 은총으로 인도하고 성령이 사람들의 마음에 역사하도록 한다. 바울은 지식보다는 그리스도를 통해 계시된 하나님의 계획의 숨겨짐, 즉 "신비"를 강조한다. 바울은 기독교인의 삶을 상을 위해 훈련과 연습을 요구하는 운동선수의 삶으로 묘사하기도 한다.[128]

4. 4. 사막 교부와 수도원 운동

이전 출력은 주어진 원문에 "사막 교부와 수도원 운동" 및 관련 인물에 대한 정보가 없어, 해당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음을 명시했습니다. 따라서 이전 출력 내용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

4. 5. 중세 시대

중세 성기에는 새로운 수도회의 번성과 함께 신비주의적 수행과 이론화가 번성했다. 기고 2세, 빙엔의 힐데가르트, 클레르보의 베르나르, 생 빅토르 수도회 등 다양한 수도회 출신 인물들이 등장했으며, 평신도들 사이에서도 대중적 경건이 처음으로 꽃피웠다.[113]

중세 후기에는 도미니코회프란치스코회의 사상 학파 간의 갈등이 있었으며, 이는 두 개의 다른 신비주의 신학 간의 충돌이기도 했다. 한편으로는 도미니코 데 구스만의 신학이, 다른 한편으로는 아시시의 프란치스코, 파도바의 안토니오, 보나벤투라, 토디의 자코포네, 폴리뇨의 안젤라의 신학이 있었다. 더욱이, 베긴회와 같은 신비주의 집단들이 성장했다. 라인-플랑드르 신비주의자들인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요하네스 타울러, 헨리 수소, 루이스브로크의 요한과 영국의 신비주의자들인 리처드 롤, 월터 힐턴, 노리치의 줄리안도 있었다. 이 시기에는 시에나의 카타리나와 제노바의 카테리나, ''데보티오 모데르나'', 그리고 ''독일 신학'', ''무지의 구름'', ''그리스도를 본받아''와 같은 책들이 나타났다.

  • 요하네스 스코투스 에리우게나(): 페리피세온(Periphyseon). 에리우게나는 위(僞) 디오니시우스를 그리스어에서 라틴어로 번역했다. 플로티누스, 아우구스티누스, 위(僞) 디오니시우스의 영향을 받았다.
  • 클레르보의 베르나르두스(1090–1153): 시토회 신학자, ''겸손과 교만의 단계'', ''하나님을 사랑함에 대하여'', ''아가에 대한 설교''의 저자. 성경과 개인적 경험을 강하게 혼합했다.
  • 빙엔의 힐데가르트(1098–1179): 베네딕토회 수녀원장 겸 개혁 설교자. 비전으로 유명하며, ''Scivias''(''길을 알라'')와 ''Liber Divinorum Operum''(''신의 업적의 책'')과 같은 저서에 기록되어 있다. 위(僞) 디오니시우스, 그레고리오 1세, 라바누스 마우루스, 요하네스 스코투스 에리우게나의 영향을 받았다.
  • 빅토르 학파: 11세기; 명상과 관상을 강조; 위(僞) 디오니시우스를 대중화하는 데 도움을 주었으며 아우구스티누스의 영향을 받았다.
  • 생 빅토르의 휴(d. 1141): ''그리스도교 신앙의 신비'', ''노아의 신비로운 방주'' 등.
  • 생 빅토르의 리차드(d. 1173): ''열두 족장''과 ''신비로운 방주''(예: ''작은 벤야민''과 ''큰 벤야민'') 단테, 보나벤투라, ''무지의 구름''에 영향을 미쳤다.
  • 프란체스코회:
  • 아시시의 프란치스코(c.1182 – 1226): 수도회 창립자, 단순함과 참회를 강조; 최초로 기록된 성흔 사례.
  • 파도바의 안토니우스(1195–1231): 사제, 프란체스코회 수도사 겸 신학자; 비전; 설교.
  • 보나벤투라( – 1274): ''영혼의 하느님으로의 여정'', ''삼중의 길'', ''생명의 나무'' 등. 위(僞) 디오니시우스, 아우구스티누스, 베르나르두스, 빅토르 학파의 영향을 받음.
  • 토디의 야코포네( – 1306): 프란체스코회 수도사; "영성가"의 저명한 멤버; ''찬미가''.
  • 폴리뇨의 안젤라( – 1309): 제3회 수녀; 그리스도의 수난에 집중; ''기념비''와 ''지침''.
  • 포르투갈의 아마데우스( – 1482): 프란체스코회 수도사; 계시; ''Apocalypsis nova''.
  • 토마스 아퀴나스(1225–1274): 사제, 도미니코회 수도사 겸 신학자.
  • 베긴회(13세기):
  • 마그데부르크의 메흐틸트(c. 1212 – c. 1297): 비전, 신부 신비주의, 개혁; ''신성의 흐르는 빛''.
  • 안트베르펜의 하데비치(13세기): 비전, 신부 신비주의, 본질 신비주의; 저술은 주로 편지와 시. 요한 반 루이스브루크의 영향을 받음.
  • 라인란트 신비주의자(14세기): 사변과 아포파시스로의 급격한 전환; 대부분 도미니코회.
  • 마이스터 에크하르트(1260–1327): 설교.
  • 요하네스 타울러(d. 1361): 설교.
  • 수소의 헨리(c. 1295 – 1366): ''종의 생애'', ''영원한 지혜의 작은 책''.
  • ''테올로기아 게르마니카(Theologia Germanica)''(익명). 영향: 마르틴 루터.
  • 요한 반 루이스브루크(1293–1381): 플랑드르 출신, 아우구스티누스; ''영적인 약혼'' 외 다수. 라인란트 신비주의자와 유사한 주제. 베긴회, 시토회의 영향을 받음. 헤르트 흐로테와 ''데보티오 모데르나''의 영향을 미침.
  • 시에나의 카테리나(1347–1380): ''서신''.
  • 영국 신비주의자(14세기):
  • 익명 - ''무지의 구름'' - 금욕적인 저자가 신비적이고 관상적인 기도를 실천하는 지침으로 의도함.
  • 리처드 롤( – 1349): ''사랑의 불'', ''생명의 수정'', ''수난에 대한 묵상''.
  • 월터 힐턴( – 1396): ''완전의 사다리''(일명, ''완전의 규모'') - 위(僞) 디오니시우스의 저작을 잘 알고 있음을 시사하며, 저자는 초보자를 위한 초기 영어로 된 중요한 작품을 제공한다.
  • 노리치의 줄리안(1342 – ): ''신의 사랑의 계시''(일명 ''사랑의 보여주심'').
  • 케임프의 마저리(1373 - ): ''마저리 케임프의 책''.

4. 6. 종교개혁과 반종교개혁

종교개혁은 신비주의를 경시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마르틴 루터, 장 칼뱅 등 일부 개혁가들은 중세 신비주의 전통의 영향을 받았다.[116] 마르틴 루터에크하르트타울러의 독일 도미니크 신비주의 전통과 위(僞) 디오니시오스 아레오파기타의 영향을 받은 ''Wesenmystik''("본질 신비주의") 전통의 영향을 받은 수도사였다. 그는 성경과 아우구스티누스 다음으로 하나님, 그리스도, 그리고 인류에 대해 가르치는 데 가장 중요한 책이라고 주장한 ''독일 신학''을 출판했다.[26] 중세 시대의 많은 금욕적인 행위를 거부하고 감정적 경험보다 교리적 지식을 선호했던 장 칼뱅조차 장 게르송과 그리스도를 모방하고 아들과 아버지의 관계를 통해 개인의 하나님 의존을 실천하는 영적 성장의 방법으로서 경건함을 강조하는 ''Devotio Moderna''의 영향을 받는등 중세의 영향을 받았다. 한편, 현세적인 성공을 통해 영원한 구원을 누릴 수 있다는 그의 개념은 후대에는 "위안의 신비주의"로 이어진다.[26]

반종교개혁 시기에는 스페인을 중심으로 뛰어난 신비가들이 등장했다.[114] 이냐시오 데 로욜라는 ''영신 수련''을 통해 사람들이 주의 깊은 영적 지도를 통해 하느님을 경험할 수 있는 수용적인 의식 상태로 나아가도록 이끌었다.[121] 아빌라의 테레사는 묵상이 어떻게 하느님과의 합일로 이어지는지 설명했다.[121] 십자가의 성 요한은 신비주의 기도를 체계적으로 접근하고, 기독교 신비주의적 실천과 경험에 대한 시적이고 문학적인 언어를 제공했다.[121]

4. 7. 근대 이후

근대 이후에도 기독교 신비주의는 여러 교파에서 나타났다. 퀘이커는 내면의 빛을 강조하며 신비적 경험을 중시했고, 성공회와 감리교 내에서도 신비주의적 흐름이 이어졌다.[122]

현대에는 토마스 머튼 같은 트라피스트회 수도사나 토마스 키팅 같은 신학자들이 신비주의 전통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있다. 이들은 기독교 묵상과 관상 기도를 통해 하느님과의 합일을 추구하는 신비주의의 핵심을 현대인의 언어로 풀어냈다.[122]

5. 실천 방법

기독교 신비주의의 실천은 "정화", "조명", "합일"의 세 단계로 이루어지며, 이는 인간의 육체, 심혼, 영을 인식하는 것에 대응한다.[42][32][43] 각 단계는 고유한 특징과 목표를 가진다.

"정화"는 신비주의 수행의 시작점으로, 육체 제어를 위한 훈련에 중점을 둔다. 신비가들은 기도, 단식, 구제 등의 활동을 통해 영적, 물질적 자비를 실천한다. 이는 바울로의 말처럼 "영으로써 몸의 행실을 끊"는 것이며,[42] (로마 신자들에게 보낸 편지 8:13) 외면과 내면의 "정욕"을 끊는 것을 의미한다. 금욕주의 또는 고행이라고 불리는 이 과정은 영적, 정신적, 감정적, 육체적 "치유"를 통해 "구원"을 얻는 것을 목표로 한다.

"조명"은 성령이 마음을 비추어 성경이나 기독교 전통, 그리고 자연계에 명시된 진리를 깨닫는 지혜를 주는 단계이다. 여기서 "자연계의 진리"는 과학적 의미가 아닌, 모든 사물 안에서 하느님의 작용을 느끼는 것과 같은, 삼라만상의 "깊이"를 의미한다.[42]

"합일"은 "명상"이라고도 불리며, 하느님과 일체되는 경험과 관련된다. 요한의 첫째 편지 4:16에서처럼, "하느님은 사랑이시"며, 사랑 안에 머무는 사람은 하느님 안에 머물고, 하느님도 그 사람 안에 머무신다는 "하느님의 사랑"과 관련된다.[42]

이 세 단계는 제3의 단계에 이르기 위한 준비적인 것으로 설명되기도 하고, 서로 겹쳐져 있는 것으로 설명되기도 한다.[42]

기독교 신비주의는 개인적인 수행뿐만 아니라 성찬식(전례 미사·성체 예식)과 같은 집단 의례 참여, 영적 지도자와의 교제 또한 강조한다.

5. 1. 정화, 조명, 합일의 길

전통적으로 기독교 신비주의는 정화(카타르시스), 조명(테오리아), 합일(테오시스)의 세 단계를 거치는 것으로 설명된다.[42][32][43] 이 세 가지 측면은 서방 교회에서는 정화, 조명, 합일로, 동방 교회에서는 입술의 기도, 마음의 기도, 마음의 기도로 불린다.

  • '''정화(정화, 카타르시스)''': 모든 부정하고 불건전한 것에서 돌아서는 것을 의미하며, 마음과 몸의 정화를 포함한다. 특히 중요한 것은 세상적인 생각의 특징인 망상의 상태에서 벗어나기 위해 필요한 분별력과 지혜(지식)의 능력인 의식(''누스'')의 정화이다. 정화된 ''누스''를 통해 명확한 시야와 이해가 가능해지며, 관상 기도를 하기에 적합하게 된다.
  • '''조명(관상, 테오리아)''': "자연적" 또는 "획득된 관상"이라고도 불린다. 하느님의 빛을 받아 성경이나 기독교 전통에 명시된 진리뿐만 아니라, 자연계에 명시되어 있는 진리를 깨닫는 지혜를 얻는 단계를 의미한다. 여기서 "자연계의 진리"란, 과학적인 의미가 아니라, 경험하는 모든 사물 안에서 하느님의 작용을 느끼는 것과 같은, 삼라만상의 "깊이"를 비추는 작용을 가리킨다.
  • '''합일(테오시스)''': "주입된" 또는 "더 높은 관상"이라고도 불리며, 하느님 안에 거함, 하느님을 뵘, 신화, 하느님과의 합일을 의미한다. 어떤 형태로든, 하느님과 일체되는 경험과 관계가 있으며, 무엇보다도 항상 신성한 ''사랑''과의 재결합과 관련이 있다. 요한 1서 4:16에서 말하듯, "하느님은 사랑이시라, 사랑 안에 거하는 자는 하느님 안에 거하고 하느님도 그 안에 거하시느니라."처럼 지성에 의하기 이전에, 마음으로, 지고한 존재를 아는 것이다.


헤시카즘이라고 불리는 동방 정교회 수행 전통에서는, 성인의 속성으로서의 겸손은 거룩한 지혜 또는 ''소피아''라고 불린다. 겸손은 인류의 구원에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헤시카스트는 더 깊은 관상적 고요의 상태에 들어가기 위해 고독 속으로 물러난다. 이 고요를 통해 마음은 진정되고, 현실을 보는 능력이 향상된다. 수행자는 사도 바울이 '끊임없는 기도'라고 부른 것을 얻으려고 노력한다.

묵상을 얻기 위해 오랫동안 기독교인들이 사용해 온 수행법 중 하나는 "성직자이든 세속적인 직업을 가진 사람이든 모든 사람에게 제공"되는 것으로,[47] 구절이나 단어를 끊임없이 반복하여 정신을 집중하는 것이다. 예수 기도는 동방 교회에서 널리 사용되는 수행법으로, "주 예수 그리스도, 하느님의 아들이시여, 죄인인 저를 불쌍히 여기소서"라는 구절을 반복한다. 이 기도는 마음의 평화와 하느님의 임재를 체험하게 하는 중요한 수행으로 여겨진다.

5. 2. 긍정 신학과 부정 신학

긍정 신학(cataphatic)은 하느님을 긍정적인 언어로 묘사하고, 부정 신학(apophatic)은 하느님을 언어로 표현할 수 없다고 본다. 긍정 신학의 예로는 성 이냐시오 데 로욜라의 《영신 수련》, 프란치스코 데 아시시 등이 있으며, 부정 신학의 예로는 위(僞) 디오니시오 아레오파기테의 저술,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등이 있다.

어번 T. 홈스 3세는 신비 신학을 마음을 밝히는 데 초점을 맞추는지(사변적 실천), 마음/감정에 초점을 맞추는지(정서적 실천)에 따라 분류했다.

이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범주가 나타난다.

구분사변적정서적
긍정 신학합리주의경건주의
부정 신학금욕주의퀘이에티즘

[1]

5. 3. 묵상과 관상

묵상(meditation)은 성경 말씀이나 이미지를 통해 하느님을 생각하고, 관상(contemplation)은 침묵 속에서 하느님의 임재를 체험하는 것이다. 묵상과 관상은 명확히 구분되지 않고 겹치기도 하는데, 묵상은 관상 생활의 토대가 되며 관상 상태를 시작하는 실천이다.[40] 렉시오 디비나, 중심 기도 등 다양한 묵상/관상 기도 방법이 존재한다.

십자가의 성 요한은 묵상과 관상의 차이를 "일하는 것과 우리 일의 열매를 누리는 것, 선물을 받는 것과 그것으로 이익을 얻는 것, 여행의 수고와 여정의 마지막 휴식 사이의 차이"와 같다고 설명했다.[38][39] 동방 정교회 수도승 마타 알-미스킨은 "명상은 독서 등을 통해 자신의 영혼이 하는 활동인 반면, 관상은 그 영혼의 자발적인 활동"이라며, "명상에서 인간의 상상력과 사고력은 어떤 노력을 기울인다. 그러면 관상이 따라와서 인간을 모든 노력에서 벗어나게 한다. 관상은 영혼의 내적 비전이자 하느님 안에서의 마음의 단순한 휴식"이라고 주장했다.[40]

기독교인들은 묵상을 위해 성경 구절이나 단어를 반복하는 수행법을 오랫동안 사용해 왔다.[47] 성 요한 카시아누스는 "오, 하느님, 저를 구원하소서: 오, 주님, 어서 저를 도우소서"라는 구절을 반복할 것을 권장했다.[48][49] 예수 기도에 사용되는 "주 예수 그리스도, 하느님의 아들이시여, 죄인인 저를 불쌍히 여기소서"라는 구절은 "정교회의 만트라"라고 불리기도 한다.[49] ''무지의 구름''의 저자는 "하느님" 또는 "사랑"과 같은 단음절 단어의 사용을 권장했다.[53]

로마 가톨릭교회의 기도 방법에는 예수 기도를 드리는 것,[60] 예수님의 거룩한 이름을 부르는 것,[60] 성경 구절을 낭송하는 것, 무지의 구름에서 제안한 단음절 단어를 반복하는 것,[53] 중심 기도에 사용되는 방법, 렉시오 디비나를 사용하는 것 등이 있다.[61]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묵주기도를 "기독교 묵상의 가장 훌륭하고 칭찬할 만한 전통 중 하나"라고 칭하며 기독교 영성의 중심에 두었다.[63]

현대에 와서 토마스 키팅은 중심 기도를 대중화했는데, 이는 "마음의 기도", "단순함의 기도"라고도 불리며, 헤시카즘과 《무지의 구름》을 활용했다.

6. 주요 인물 및 저작

기독교 신비주의와 관련된 주요 인물과 그들의 저작은 다음과 같다. 이들의 말은 깊은 의미를 담고 있으며, 기독교 신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시리아의 이사악은 7세기 시리아의 수도사로, 고행을 통해 얻는 영적 경험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보라, 고행을 통해 사람에게 어떤 행복이 생기는지를. 사람은 기도에 무릎을 꿇고, 손을 하늘로 들고, 얼굴은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향하며, 모든 생각을 하나로 모아 신에게 기도하는 데 집중하는 일이 자주 있을 것이다. 그리고 사람이 눈물과 감동으로 기도할 때, 그 사이에 동시에 갑자기 마음속에 즐거움을 쏟는 샘이 끓어오르며, 그의 사지는 약해지고, 눈은 감기고, 얼굴은 땅에 엎드리고, 그의 생각은 변화한다. 그리하여 사람은 그의 전신에 일어나는 환희 때문에 경배를 드릴 수 없게 될 것이다. 사람이여, 읽는 것에 주의하라. 왜냐하면 분투하지 않으면 얻는 것이 없을 것이며, 열심으로 문을 두드리고, 그 곁에서 끊임없이 깨어 멈추지 않으면 들어주지 않을 것이다."[124]

6. 1. 초기 기독교

사도 교부들에게 귀속된 텍스트는 현존하는 가장 초기의 성경 이후 텍스트로, 내부 분열과 박해에 대한 인식 속에서 단결을 촉구하고, 예언, 환상, 그리고 기독교적 ''영지주의''와 같은 몇 가지 핵심 주제를 공유한다.[2] 여기서 ''영지주의''는 소수의 사람들만이 접근 가능하며 그들을 악한 세상으로부터 자유롭게 하는 비밀 지식에 초점을 맞춘 영지주의자들의 것과는 다르다.[2][3] 이 저자들은 또한 "두 길", 즉 생명의 길과 죽음의 길에 대해 논하는데, 이는 산상수훈과 토라 모두에서 발견되는 성경적 뿌리를 가지고 있다.[4] 두 길은 마음의 순수함 개념과 관련되며, 이는 분열되거나 이중적인 마음과 대조하여 발전하고, 마음을 온전하고 순수하게 유지하는 금욕주의의 필요성과 연결된다.[4][3] 마음의 순수함은 많은 작가들이 신학적 용어로 논의한 순교, 즉 악이 아닌 하나님을 위해 진정으로 죽을 기회로 여기는 인식과 관련하여 특히 중요했다. 이는 금욕적 실천의 궁극적인 예였다.[5] 순교는 성찬세례와의 연관성에서 상징적으로 여겨지기도 했다.[3]

''테오리아''는 교부들이 순전히 과학적이거나 경험적인 접근 방식으로는 알 수 없는 성경 저술의 심오한 의미를 인식할 수 있게 했다.[20] 특히 안티오크 교부들은 성경의 모든 구절에서 문자적 의미와 영적 의미라는 이중적인 의미를 보았다.[21] 프란시스 마가렛 영이 지적하듯이, "통찰력"의 유형으로 번역되는 ''테오리아''는 성경의 문구와 "이야기"에서 도덕적이고 영적인 의미를 인식하는 행위였다.[23] 이는 알레고리의 한 형태로 간주될 수 있다.[24]

알렉산드리아의 기독교 신비주의는 오리게네스(185년경~253년)와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150년경 – 215년경)를 중심으로 한다. 클레멘스는 초기 기독교 인문주의자로, 이성은 인간 존재의 가장 중요한 측면이며, ''영지''(우리가 스스로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선물)는 자연 세계와 성경 뒤에 숨겨진 영적인 현실을 찾는 데 도움이 된다고 주장했다. 클레멘스는 이성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진리의 한 형태로 여겨지는 하나님의 사랑 안에서 살기 위해 우리의 열정을 합리적으로 정리하는 ''아파테이아''를 강조했다.[6] 동방 기독교 사상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 오리게네스는 영적 현실이 (유대교의 아가다 전통과 유사하게) 성경의 비유적인 해석을 통해 발견될 수 있다는 생각을 더욱 발전시켰지만, 십자가, 특히 영적 투쟁과 고행을 통해 십자가를 통해 그리스도를 모방하는 것의 중요성에 초점을 맞췄다. 오리게네스는 영적 수련에서 지성과 덕(''관조''와 ''실천'')을 결합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광야를 통과하는 이스라엘 백성을 이끄는 모세아론의 이미지를 활용하고, 영혼과 그리스도 로고스의 결합을 아가의 결혼 이미지로 묘사했다.[7] 알렉산드리아 신비주의는 헤르메스주의신플라톤주의와 함께 발전했으며,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아이디어, 이미지 등을 공유한다.[8]

알렉산드리아의 필로(기원전 20년경 – 기원후 50년경)는 유대 헬레니즘 철학자로, 히브리 성경을 그리스 사상, 즉 유대 역사를 이해하려는 그리스도인들에게 연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필로는 히브리 성경의 비유적 해석이 텍스트의 실제 의미에 접근하는 데 도움을 준다고 가르쳤다. 또한 스토아 학파에세네파의 관조적 초점과 플라톤주의와 테라페우타이에서 발견되는 덕과 공동체 예배의 적극적인 삶을 결합할 필요성을 가르쳤다. 플라톤주의자를 연상시키는 용어를 사용하여, 필로는 믿음의 지적 요소를 ''누스''(마음)가 멈추고 하나님의 영이 그 자리를 차지하는 일종의 영적 황홀경으로 묘사했다. 필로의 사상은 알렉산드리아 기독교인인 클레멘스오리게네스, 그리고 그들을 통해 니사의 그레고리에게 영향을 미쳤다.[9]

초기 기독교 신비주의와 관련된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 유스티누스 순교자(105년경~165년): 그리스 철학을 기독교 신학으로 가는 발판으로 사용했다. 일부 그리스인들이 도달한 신비주의적 결론은 그리스도를 가리킨다고 보았다. 피타고라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향을 받았으며, 스토아 철학의 영향도 받았다.
  • 오리게네스(185년경~254년): 『원리에 관하여』와 『켈수스 반박(Contra Celsum)』을 저술했다.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 밑에서 공부했으며, 플로티누스의 스승인 암모니우스 사카스에게서도 배웠을 가능성이 있다. 신플라톤주의를 기독교화하고 신학화했다.
  •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296/8년경~373년): 『안토니우스의 생애』(360년경)를 저술했다.
  • 니사의 그레고리우스(335년경~394년 이후): 영적 성장의 단계, 끊임없는 진보의 필요성, 모세의 이야기에 나타난 "신성한 어둠"에 초점을 맞췄다.
  •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354년~430년): 『삼위일체론』과 『고백록』을 저술했다. 중세 신비주의의 중요한 원천이며, 플라톤주의와 기독교를 융합시켰다. 플라톤플로티노스의 영향을 받았다.
  • 아레오파고의 위 디오니시우스(500년경): 『신비 신학』을 저술했다.
  • 아바 오르(400년경~490년경): 초기 이집트 기독교의 수행자이자 신비주의자였다. 아누브도 참조.

6. 2. 중세 시대

호세 벤류르 이 길의 ''아시시의 프란치스코''


14세기 초 플랑드르 로스차일드 성가집(Rothschild Canticles), 예일 베이네케 MS 404, fol. 40v에 수록된 삼위일체에 대한 명상적 신비주의 이미지.


시에나의 카테리나, ''신의 가르침의 책''(Libro della divina dottrina)(일반적으로 ''신의 섭리의 대화''로 알려짐)


축복받은 아마데우스의 ''Apocalypsis nova''의 채색 필사본 첫 페이지


인물주요 저서 및 활동영향
요한네스 스코투스 에리우게나페리피세온(Periphyseon). 위(僞) 디오니시우스를 그리스어에서 라틴어로 번역.플로티누스, 아우구스티누스, 위(僞) 디오니시우스
클레르보의 베르나르두스(1090–1153)시토회 신학자, 겸손과 교만의 단계, 하나님을 사랑함에 대하여, 아가에 대한 설교 저술; 성경과 개인적 경험을 강하게 혼합.
빙엔의 힐데가르트(1098–1179)베네딕토회 수녀원장 겸 개혁 설교자, 비전으로 유명, Scivias(길을 알라)와 Liber Divinorum Operum(신의 업적의 책) 저술.위(僞) 디오니시우스, 그레고리오 1세, 라바누스 마우루스, 요한네스 스코투스 에리우게나
빅토르 학파 (11세기)명상과 관상을 강조; 위(僞) 디오니시우스를 대중화;아우구스티누스
생 빅토르의 휴(d. 1141)그리스도교 신앙의 신비, 노아의 신비로운 방주 등.
생 빅토르의 리차드(d. 1173)열두 족장신비로운 방주(예: 작은 벤야민큰 벤야민)단테, 보나벤투라, 무지의 구름
프란체스코회
아시시의 프란치스코(c.1182 – 1226)수도회 창립자, 단순함과 참회를 강조; 최초로 기록된 성흔 사례
파도바의 안토니우스(1195–1231)사제, 프란체스코회 수도사 겸 신학자; 비전; 설교
보나벤투라 ( – 1274)영혼의 하느님으로의 여정, 삼중의 길, 생명의 나무 등.위(僞) 디오니시우스, 아우구스티누스, 베르나르두스, 빅토르 학파
토디의 야코포네 ( – 1306)프란체스코회 수도사; "영성가"의 저명한 멤버; 찬미가
폴리뇨의 안젤라 ( – 1309)제3회 수녀; 그리스도의 수난에 집중; 기념비지침.
포르투갈의 아마데우스 ( – 1482)프란체스코회 수도사; 계시; Apocalypsis nova
토마스 아퀴나스(1225–1274)사제, 도미니코회 수도사 겸 신학자.
베긴회(13세기)
마그데부르크의 메흐틸트(c. 1212 – c. 1297)비전, 신부 신비주의, 개혁; 신성의 흐르는 빛
안트베르펜의 하데비치(13세기)비전, 신부 신비주의, 본질 신비주의; 저술은 주로 편지와 시.요한 반 루이스브루크
라인란트 신비주의자(14세기)사변과 아포파시스로의 급격한 전환; 대부분 도미니코회
마이스터 에크하르트(1260–1327)설교
요하네스 타울러(d. 1361)설교
수소의 헨리(c. 1295 – 1366)종의 생애, 영원한 지혜의 작은 책
테올로기아 게르마니카(Theologia Germanica)(익명)마르틴 루터
요한 반 루이스브루크(1293–1381)플랑드르 출신, 아우구스티누스; 영적인 약혼 외 다수. 라인란트 신비주의자와 유사한 주제.베긴회, 시토회, 헤르트 흐로테와 데보티오 모데르나
시에나의 카테리나(1347–1380)서신
영국 신비주의자(14세기)
익명무지의 구름 - 금욕적인 저자가 신비적이고 관상적인 기도를 실천하는 지침으로 의도함.
리처드 롤 ( – 1349)사랑의 불, 생명의 수정, 수난에 대한 묵상
월터 힐턴 ( – 1396)완전의 사다리(일명, 완전의 규모) - 위(僞) 디오니시우스의 저작을 잘 알고 있음을 시사하며, 저자는 초보자를 위한 초기 영어로 된 중요한 작품을 제공.
노리치의 줄리안(1342 – )신의 사랑의 계시(일명 사랑의 보여주심)
케임프의 마저리(1373 - )마저리 케임프의 책


6. 3. 종교개혁과 반종교개혁

성녀 테레사의 환희


스페인의 이냐시오 데 로욜라는 ''영신 수련''을 통해 사람들이 영적 지도를 받으며 하느님을 경험하는 방법을 제시했다.[25] 아빌라의 테레사는 묵상이 하느님과의 합일로 이어진다는 것을 설명했고,[25] 십자가의 성 요한은 영혼이 하느님과의 장애물을 포기하고 고통을 겪으며 하느님께 나아가는 '어두운 밤'을 제시했다.[25] 미겔 데 몰리노스는 고요주의 부흥을 이끌었으나, 이단 혐의로 종신형을 선고받고 감옥에서 사망했다.[115]

발레에 있는 루르드의 성모 조각상


프랑스 신비주의자로는 프란치스코 드 살, 잔느 귀용, 프랑수아 페넬롱, 로렌스 형제, 블레즈 파스칼 등이 있다.[116]

  • 스페인 신비주의자들 (16세기):
  • 이냐시오 데 로욜라 (1491–1556): 카르도네르 강에서의 깨달음과 라 스토르타 예배당에서의 환시를 경험했다.[121]
  • 아빌라의 테레사 (1515–1582): ''내면의 성''과 ''완전한 길''을 저술,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에게 영향을 받았다.
  • 십자가의 요한 (1542–1591): ''가르멜 산의 등정'', ''영적인 노래'', ''영혼의 어두운 밤''을 저술, 아빌라의 테레사와 협력했다.
  • 야코프 뵈메 (1575–1624): 독일 신지학자, ''그리스도께 이르는 길'' 저술.
  • 요한 아른트 (1555–1621): 독일 루터교 신학자, ''참된 기독교'' 저술.
  • 발렌틴 바이겔 (1533–1588): 독일 신학자, 기독교 신지학의 선구자.
  • 토마스 브라운 (1605–1682): 영국 의사이자 철학자, ''의사의 종교'' 저술.
  • 로렌스 형제 (1614–1691): ''하나님 임재 연습'' 저술.
  • 아이작 앰브로스 (1604–1664): 청교도, ''예수를 바라보라'' 저술.
  • 안젤루스 실레시우스 (1624–1677): 독일 가톨릭 사제, 의사, 종교 시인.
  • 조지 폭스 (1624–1691): 퀘이커 창시자.
  • 잔 기용 (1648–1717): 환상가이자 작가.
  • 윌리엄 로 (1686–1761): 영국 신비주의자, 야코프 뵈메에 관심.
  • 게르하르트 테르스테겐 (1697–1769): 독일 경건주의 작가, 찬송가 작가.
  • 에마누엘 스베덴보리 (1688–1772): 스웨덴 작가, 환상가.
  • 호사 에집시아카 (1719–1771): 아프로 브라질 신비주의자, ''방황하는 영혼들의 신성한 사랑의 신학'' 저술.

6. 4. 근대 이후

200px


200px


근대 이후의 기독교 신비주의자들은 다음과 같다.

이름출생-사망주요 활동 및 특징
체세의 도메니코1905–1978고통을 입은 카푸친 수도사
마리아 발토르타1898–1963환시가이자 작가
성 베드로의 마리아1816–1848가르멜회 수녀
마리 라타스테1822–1899환시가, 수녀, 작가
앤드루 머레이1828–1917복음주의 선교사이자 작가, 240권 이상의 저서 저술
마리 마르타 샹봉1841–1907수녀이자 환시가
마리 줄리 자헨니1850–1941고통을 입은 사람
성심의 마리아 드로스테 주 비셔링1863–1899선한 목자 수녀회 수녀
레지날드 가리고-라그랑제1877–1964프랑스 도미니코회 수도사, 철학자이자 신토마스주의 신학자. 대표작 내면 생활의 세 시대는 가톨릭 성인과 교부들의 이전 신학적 사상을 종합
프랭크 라우바흐1884–1970복음주의 선교사, 현대 신비주의자의 편지 저자
피에트렐치나의 파드레 피오1887–1968카푸친 수도사, 사제, 고통을 입은 사람
사두 썬더 싱1889–1929복음주의 인도 선교사, 수행자
마리아 피에리나 데 미켈리1890–1945이탈리아 수녀이자 환시가
토마스 레이먼드 켈리1893–1941퀘이커
발라자르의 알렉산드리아1904–1955환시가이자 작가
다그 함마르셸드1905–1961스웨덴 외교관 (유엔 사무총장). 사후 출판된 영적 일기 "Vägmärken"(표시)은 그에게 정치 무대에서 몇 안 되는 신비주의자 중 한 명이라는 평판을 안겨줌
마리아 파우스티나 코발스카1905–1938폴란드 수녀이자 환시가
에우게니아 라바시오1907–1990신부의 환시를 본 이탈리아 수녀
시몬 베유1909–1943프랑스 작가, 정치 운동가, 황홀경의 환시가
플라워 A. 뉴하우스1909–1994미국 투시가
카르멜라 카라벨리1910–1978이탈리아 작가
피에리나 질리1911–1991이탈리아 환시가
A. W. 토저1897–1963기독교 선교 연맹; 하나님을 추구함 저자
토마스 머튼1915–1968트라피스트 수도사, 작가
워치만 니1903–1972환시가이자 작가
리 워치만1905–1997지방 교회의 환시가이자 작가, 400권 이상의 저서 저술
루시아 수녀1907–20051917년 파티마 발현에 참여한 포르투갈인, 수녀, 예언자
버나데트 로버츠1931–2017가르멜회 수녀이자 작가, 무아 상태에 초점을 맞춤
리차드 J. 포스터1942년생퀘이커 신학자; 수련의 축하기도 저자
리차드 로어1943년생프란치스코회 사제, 작가, 예언자; "위로 떨어지다" 및 "보편적 그리스도" 저자
아넬리제 미셸1952–1976죄인을 회개시키기 위해 영적 억압을 받았다고 주장하는 젊은 독일 가톨릭 신자. 종교적 환상을 받고 고통을 가져왔다고 주장[123]
제임스 골1952년생카리스마 작가이자 예언자; 예수에게 낭비된예언자 저자


7. 현대적 의의

현대 사회에서 기독교 신비주의는 개인의 영적 성장뿐만 아니라 사회적 책임과 연대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종교 간 대화와 이해를 증진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중도진보적 관점에서 기독교 신비주의는 사회적 약자와 소외된 이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보편적 사랑과 정의를 실현하는 데 중요한 영적 자원이 될 수 있다. 또한, 한국 사회의 특수한 맥락에서 기독교 신비주의는 분단 극복과 평화 통일, 민주주의 발전, 사회 통합에 기여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다.

참조

[1] 서적 Theology of the Philokalia https://books.google[...] St Vladimir's Seminary Press 2003
[2] 서적 The Inner Eye of Love: Mysticism and Religion https://books.google[...] HarperCollins 1997
[3] 웹사이트 Liddell and Scott: θεωρία https://www.perseus.[...]
[4] 웹사이트 Lewis and Short: contemplatio https://www.perseus.[...]
[5] 서적 Christian Mysticism: The Future of a Tradition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1998-09-16
[6] 서적 Praying in God's Theater: Meditations on the Book of Revelation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4-03-10
[7] 웹사이트 t | Search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s://www.etymonli[...]
[8] 서적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9] 간행물 Theoria and Darshan: Pilgrimage as Gaze in Greece and India http://www.reading.a[...] 2000
[10] 웹사이트 Re-theorizing Politics, Culture and Religion in Nepal: A conversation with Frederick Young and Gregory Grieve https://web.archive.[...]
[11] 간행물 Unknown God, Known in His Activities https://library.oape[...] European Studies in Theology, Philosophy and History of Religions 2021-10-24
[12] 서적 Spectacles of Truth in Classical Greek Philosophy: Theoria in Its Cultural Contex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13] 서적 Cambridge Companion to Plotinus
[14] 서적 Cambridge Companion to Plotinus
[15] 서적 Cambridge Companion to Plotinus
[16] 웹사이트 Neoplatonism http://www.iep.utm.e[...]
[17]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Plotinu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18] 웹사이트 Plotinus |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iep.utm.edu/[...]
[19] 서적 The Participatory Turn: Spirituality, Mysticism, Religious Studies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08
[20] 서적 Scripture in Tradition: The Bible and Its Interpretation in the Orthodox Church https://books.google[...] St Vladimir's Seminary Press 2001
[21] 서적 Scripture in Tradition https://books.google[...]
[22] 서적 Understanding the Bible: A Basic Introduction to Biblical Interpretation https://books.google[...] Paulist Press 2007-12-31
[23] 서적 Biblical exegesis and the Formation of Christian Cultu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24] 서적 Sanctified Vision https://books.google[...] JHU Press 2005
[25] 웹사이트 Monasticism | Encyclopedia.com https://www.encyclop[...] 2021-09-29
[26] 학술지 The Conciliation of Grace and Free Will. Cassian's "Conlatio" 13 Revisited https://www.jstor.or[...] 2021-10-24
[27] 서적 Neoplatonism and Christian Thought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82
[28] 서적 Two Rediscovered Works of Ancient Christian Literature: Gregory of Nyssa and Macarius Brill 1954
[29] 서적 The Brill Dictionary of Gregory of Nyssa Brill 2010
[30] 서적 Open Mind, Open Heart: The Contemplative Dimension of the Gospel https://books.google[...] Continuum International 1986
[31] 서적 Orthodox Prayer Life: The Interior Way https://books.google[...] St Vladimir's Seminary Press 2003
[32] 웹사이트 Augustin Poulain, "Contemplation", in The Catholic Encyclopedia 1908 http://oce.catholic.[...] 2011-11-24
[33] 서적 Orthodox Prayer Life: The Interior Way https://books.google[...] St. Vladimir's Seminary Press 2003-12-31
[34] 웹사이트 Mysticism http://plato.stanfor[...] 2013-11-06
[35] 웹사이트 Pseudo-Dionysius the Areopagite | Biography, Works, & Facts https://www.britanni[...] 2021-10-06
[36] 웹사이트 The Soul's Resonance: Deepening Faith through Benedictine Contemplative Prayer https://thelaymonast[...] 2024-03-09
[37] 웹사이트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2723 https://www.vatican.[...]
[38] 서적 The Ascent of Mount Carmel https://books.google[...] BiblioBazaar 2009-07-31
[39] 서적 The Art of Mental Prayer https://books.google[...] Read Books 2008-11-30
[40] 서적 Orthodox Prayer Life: The Interior Way https://books.google[...] St Vladimir's Seminary Press 2003
[41] 웹사이트 purgative, illuminative, and unitive ways http://www.oxfordref[...]
[42] 웹사이트 Arthur Devine, "State or Way" in Catholic Encyclopedia http://oce.catholic.[...]
[43] 서적 The Three Ages of the Interior Life 1938
[44] 서적 Orthodox psychotherapy Birth of the Theotokos Monastery 1994
[45] 서적 The Forgotten Desert Mothers: Sayings, Lives, and Stories of Early Christian Women Paulist Press 2001
[46] 웹사이트 Orthodox Dogmatic Theology http://www.intratext[...]
[47] 서적 Orthodox Prayer Life: The Interior Way
[48] 웹사이트 CHURCH FATHERS: Conference 10 (John Cassian) https://www.newadven[...]
[49] 웹사이트 canadian christian meditation community https://www.wccm-can[...]
[50] 서적 The Life in Christ https://books.google[...] St. Vladimir's Seminary Press 1974-12-31
[51] 서적 Place Me with Your Son https://books.google[...] Georgetown University Press 1991
[52] 웹사이트 Some underlying positions of this ['Romanity'] website reflecting the studies herein included http://www.romanity.[...]
[53] 서적 The Cloud of Unknowing https://books.google[...] Wordsworth Classics of World Literature 2005
[54] 서적 Vision of God
[55] 웹사이트 What is the "Jesus Prayer", the "Prayer of the mind" and the "Prayer of the heart"? https://asceticexper[...] 2019-10-08
[56] 서적 Orthodox Prayer Life: The Interior Way
[57] 서적 The Forgotten Desert Mothers: Sayings, Lives, and Stories of Early Christian Women https://books.google[...] Paulist Press 2001
[58] 서적 The illness and cure of the soul in the Orthodox tradition Birth of the Theotokos Monastery Press 1993
[59] 서적 What Is Prayer?
[60] 웹사이트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 IntraText https://www.vatican.[...]
[61] 웹사이트 Magid | Safety at work https://www.washingt[...]
[62] 웹사이트 Directory of popular piety and the liturgy, §197, Congregation of Divine Worship, Vatican, 2001 https://www.vatican.[...]
[63] 웹사이트 Rosarium Virginis Mariae on the Most Holy Rosary (October 16, 2002) | John Paul II https://www.vatican.[...]
[64] 웹사이트 Thomas Keating, Centering Prayer and the Christian Contemplative Tradition https://www.contempl[...]
[65] 논문 Experiences of Radical Personal Transformation in Mysticism, Religious Conversion, and Psychosis: A Review of the Varieties, Processes, and Consequences of the Numinous https://www.jstor.or[...] 2000
[66] 서적 Orthodox psychotherapy Birth of the Theotokos Monastery 1994
[67] 서적 Mystical Theology of the Eastern Church
[68] 웹사이트 Faith And Science In Orthodox Gnosiology and Methodology http://www.romanity.[...]
[69] 서적 The Philokalia, Vol. 4
[70] 서적 On the Practice of the Virtues: One Hundred Texts
[71] 문서 Nikitas Stithatos (Nikitas Stethatos) On the Inner Nature of Things and on the Purification of the Intellect: One Hundred Texts
[72] 문서 Nikitas Stithatos (Nikitas Stethatos) On Spiritual Knowledge, Love and the Perfection of Living: One Hundred Texts
[73] 서적 Christian Spirituality in the Catholic Tradition https://books.google[...] Ignatius Press 1985
[74] 문서 Eckhart's Stages of Mystical Progression Forman 1987
[75] 서적 Practical Mysticism in Islam and Christianity https://www.taylorfr[...] Routledge 2016
[76] 웹사이트 St https://www.catholic[...]
[77] 서적 The Inner Eye of Love: Mysticism and Religion https://books.google[...] Harper Collins 2004
[78] 웹사이트 Louis J. Puhl, S.J. Translation – The Spiritual Exercises http://spex.ignatian[...] 2017-03-07
[79] 웹사이트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2709 https://www.vatican.[...] 2016-08-01
[80] 웹사이트 Dictionary : INFUSED CONTEMPLATION https://www.catholic[...]
[81] 서적 Fire Within https://books.google[...] Ignatius Press 1989
[82] 서적 Christian Spirituality in the Catholic Tradition https://books.google[...] Sheed & Ward 1985
[83] 서적 Christian Spirituality in the Catholic Tradition
[84] 서적 Christian Spirituality in the Catholic Tradition https://books.google[...]
[85] 서적 The Way of Perfection https://books.google[...] Cosimo, Inc. 2007
[86] 서적 The Interior Castle http://www.sacred-te[...] Thomas Baker 1921
[87] 웹사이트 Grade 6: Prayer of the Quiet http://www.catholic-[...] 2019-12-18
[88]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psychology of religion https://books.google[...] CUP Archive 1971
[89] 서적 Selected writings https://books.google[...] Paulist Press 1999
[90] 서적 Teresa of Ávila: The Book of My Life https://books.google[...] Shambhala Publications 2008
[91] 서적 The ascent to truth https://books.google[...]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1976
[92] 웹사이트 The ARTFL Project | The ARTFL Project https://artfl-projec[...]
[93] 웹사이트 Theosis - Deification As The Purpose Of Man's Life greekorthodoxchrch.org https://greekorthodo[...]
[94] 웹사이트 On Union With God and Life of Theoria by Kallistos Katafygiotis (Kallistos Angelikoudis) greekorthodoxchrch.org https://www.greekort[...]
[95] 문서 Fellow Workers With God: Orthodox Thinking on Theosis (Foundations)
[96] 웹사이트 The Difference Between Orthodox Spirituality and Other Traditions http://www.orthodoxi[...]
[97] 서적 What Is prayer? Faber & Faber 1966
[98] 웹사이트 The Difference Between Orthodox Spirituality and Other Traditions http://orthodoxinfo.[...]
[99] 서적 The Vision of God SVS Press 1997
[100] 웹사이트 Andrew Louth, Theology, Contemplation and the University (abstract) http://sce.sagepub.c[...]
[101] 문서 deCatanzaro 1980
[102] 서적 The mystical theology of the Eastern Church https://books.google[...]
[103] 웹사이트 Gregory Palma http://www.monachos.[...] 2009-11-19
[104] 웹사이트 The Difference Between Orthodox Spirituality and Other Traditions http://www.orthodoxi[...]
[105] 웹사이트 St. Nicholas Orthodox Church » Mysticism, Women and the Christian Orient http://www.stnichola[...] 2011-07-28
[106] 웹사이트 Orthodox and European Civilization: The struggle between Hellenism and Frankism http://www.romanity.[...] 1995-01-01
[107] 문서 "Those who speak from their own thoughts, before having acquired purity, are seduced by the spirit of self-esteem."
[108] 서적 History of Russian Philosophy «История российской Философии » Allen & Unwin 1951-01-01
[109] 서적 An Anthology https://books.google[...] Ignatius Press 1989-01-01
[110] 웹사이트 Saint John Cassian | Biography, Theology,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2-21
[111] 서적 The Conferences https://books.google[...] Newman Press 1997-01-01
[112] 서적 The Liturgy of Theory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05-01-01
[113] 학술지 The History of Ideas in the Christian Middle Ages: From the Fathers to Dante in American and Canadian Publications of the Years 1940–1952 https://www.jstor.or[...] 1953-01-01
[114] 웹사이트 Counter-Reformation Definition, Summary, Outcomes, Jesuits, Facts, & Significance https://www.britanni[...]
[115] 웹사이트 Christian Mystics Full Library Part Two Revelations of Divine Love in... https://www.slidesha[...] 2015-10-01
[116] 웹사이트 A medieval mystic untimely born? Christian History Magazine https://christianhis[...]
[117] 학술지 Everything in Its Proper Season: Sir Thomas Browne's Religio Medici 2010-05-01
[118] 학술지 Neural correlates of a mystical experience in Carmelite nuns Elsevier 2006-01-01
[119] 서적 Tragedy, Modernity and Mourning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04-01-01
[120] 서적 Speculative Philosophy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2009-01-01
[121] 웹사이트 Life of St. Ignatius – Founder of the Society of Jesus https://web.archive.[...]
[122] 웹사이트 Anneliese Michel—A unrecognized and misunderstood victim soul. A closer look at her possession, exorcism and death https://www.mysticso[...]
[123] 서적 神の現存の体験
[124] 서적 シリヤの聖イサアク全書第56説教 https://dl.ndl.go.jp[...]
[125] 서적 神の現存の体験
[126] 서적 神の現存の体験
[127] 서적 ロシアの神秘家たち
[128] 서적 ロシアの神秘家たち
[129] 서적 ロシアの神秘家たち
[130] 서적 シルワンの手記
[131] 서적 大聖マカリオスの言行録
[132] 서적 キリスト教神秘思想の源流
[133] 서적 キリスト教神秘思想の源流
[134] 서적 キリスト教神秘思想の源流
[135] 서적 神の現存の体験
[136] 서적 ロシアの神秘家たち
[137] 서적 ロシアの神秘家たち
[138] 서적 ロシアの神秘家たち
[139] 서적 ロシアの神秘家たち
[140] 서적 루터교 순환파 https://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